
서문Spring MVC를 넘어서 리액트와 스프링 풀스택 개발을 시도해보고 싶어졌습니다. 이를 위해서 Restful API를 설계해야하는데 혼자서 MVC 개발하던 패턴과는 아예 다른 방법으로 응답을 제공하더라구요.. 바로 ResponseEntity를 사용해서 stateCode, body 등을 반환했는데 이를 공부하면서 블로그에 정리하려고 합니다. 잘 몰라서 공부하며 정리한 것이라 만약에 틀린 부분이 있다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ㅜㅜResponseEntity는 무엇이고, 왜 사용하는걸까?Spring에서는 @ResponseBody로 DTO를 반환하면 알아서 Json으로 변환해 주기도 하고, 혼자 스프링 MVC로 개발할 때는 협업이 아닌 개인 개발이기 때문에 상태코드를 세밀하게 반환하지 않았어요. 적당한 예..